천산갑 - 신종코로나 중간숙주, 아르마딜로는 아니다
2020. 2. 8. 14:36ㆍ일상다반사
728x90
반응형
중국 우한에서 시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전파한 중간 숙주가 '아르마딜로'라는 국내 언론의 보도가 혼란을 주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등 일부 매체는 중간 숙주 정체를 '아르마딜로'라고 보도한 반면 다른 매체들은 이를 '천산갑'으로 보도했습니다. 두 동물은 서로 겉모습이 비슷해 일반인들이 구분하기 힘들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종의 동물로 분류됩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연구진이 지목한 새 중간 숙주가 '아르마딜로'가 아닌 '천산갑'으로 보도하고 있습니다.
7일 연합뉴스 등은 "중국 화난(華南)농업대학은 공식 위챗 계정에서 아르마딜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잠재적 중간 숙주라고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르마딜로는 멸종위기종이지만 중국에서는 보양에 좋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아르마딜로 보호 캠페인도 일었다"며 "이 대학은 또한 이번 연구 결과가 신종코로나 예방·통제에 중대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는 이날 "중국 화난농업대가 공식 웨이보 계정을 통해 천산갑(穿山甲)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잠재적 숙주로 밝혀졌다"고 전했습니다. 중국 화난농업대는 공식 위챗 계정을 통해서도 새로운 중간 숙주로 천산갑을 지목했습니다. 해외 매체인 로이터와 뉴욕타임스는 영어로 아르마딜로를 쓰지 않고 천산갑의 영문명이 판골린(pangolin)을 공식적으로 사용했습니다.
아르마딜로와 천산갑은 별개 동물이라고 분류됩니다. 아르마딜로는 갑옷처럼 생긴 등껍질을 두르고 있는 동물로 유명합니다. 이 모양새 때문에 ‘무장한’이라는 뜻의 스페인어 ‘아르마도(armado)’에서 이름이 유래됐습니다. 피갑목에 속하는 포유류 동물로, 주로 작은 곤충이나 나무 뿌리,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고 삽니다. 나쁜 시력 대신 뛰어난 후각과 청각을 이용해서 먹이를 찾곤 합니다.
야생 아르마딜로는 중국에서 볼 수 없습니다. 총 11종이 있는데 모두 아메리카 대륙에서 서식합니다. 반면 천산갑은 중국 남부와 인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 서식합니다.
아르마딜로는 몸을 공처럼 동그랗게 말아서 자신을 보호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건 세 종류의 아르마딜로 중 ‘세띠아르마딜로’만 가지고 있는 습성입니다. 땅 속으로 숨을 시간이 없을 정도로 급박할 때 몸을 동그랗게 말면서 등껍질 속으로 머리와 다리를 집어넣어 자신을 보호합니다.
아르마딜로의 등껍질은 뼈와 비슷한 재질이며, 단단하기로 유명합니다. 심지어 미국에서는 아르마딜로의 등껍질이 총알을 튕겨 냈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천산갑은 아르마딜로처럼 단단한 등껍질을 가지고 있는 동물입니다. 등껍질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 때문에 헷갈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아르마딜로는 피갑목인 반면, 천산갑은 유린목에 속합니다. 실제로 이 둘을 잘 보면 등껍질이 서로 다르게 생겼습니다. 동물의 가죽처럼 생긴 아르마딜로의 등껍질과는 달리, 천산갑의 등껍질은 물고기의 비늘처럼 생겼습니다.
등껍질의 모양뿐만 아니라 성분도 아르마딜로와는 다릅니다. 천산갑의 등껍질은 사람의 손톱 성분과 같은 ‘케라틴’이라는 딱딱한 물질로 되어 있습니다. 위급 상황에서 몸을 동그랗게 말아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습성은 비슷합니다.
천산갑은 무기를 하나 더 갖고 있는데 바로 ‘냄새’입니다. 마치 스컹크처럼 항문 근처에 있는 분비선에서 지독한 냄새가 나는 물질을 뿜어내 자신을 보호합니다.
728x90
반응형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민정 금메달 - 쇼트트랙월드컵 5차 (0) | 2020.02.09 |
---|---|
"신종코로나, 에어로졸 통한 전파도 가능" (0) | 2020.02.09 |
에듀윌 "46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가답안 공개" (0) | 2020.02.08 |
유재석, 펭수 집들이 초대 받다..붕어빵 먹방 예고 "내가 왔다" (0) | 2020.02.07 |
'정치공작' 원세훈 전 국정원장 징역 7년 선고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