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25. 20:17ㆍ일상다반사
사계절이 있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건강을 위해서는 계절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계절이 변화면 신체에서는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큰 겨울철에는 특히 ‘혈관 질환’을 주의해야 합니다.
겨울철 혈압 상승, 각종 심·뇌혈관질환 위험 높여
기온이 떨어지면 피부를 통한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혈관이 수축합니다. 이로 인해 심박 수가 상승하고 혈압이 자연스럽게 높아집니다. 기온이 1도 떨어지면 수축기혈압은 약 1.3㎜Hg, 이완기혈압은 약 0.6㎜Hg 올라갑니다.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김수중 교수는 “겨울철 기온변화에 따른 신체 변화는 기존 심혈관질환자 뿐만 아니라 발병 전 단계인 위험군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실제 급성 심근경색증의 경우, 여름보다 겨울철 발생빈도가 약 50% 이상 상승하고, 병원 내 사망률을 고려해 보면 여름철 대비 겨울철에 9%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혈압을 조절하는 자율조절 능력이 떨어진 고령층은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혈압 상승이 무서운 이유는 고혈압 자체보다 심근경색증, 뇌출혈, 뇌졸중 등 합병증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김수중 교수는 ”혈압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내외 온도 차가 많이 나지 않도록 얇은 옷을 여러 겹 걸쳐 입고, 외출 시 귀마개, 모자, 마스크 등을 적극 활용해 보온에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뇌졸중 골든타임 지키려면… FAST 법칙 기억을
뇌혈관 또한 기온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뇌혈관질환에는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져 발생하는 뇌출혈이 있습니다.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환자 발생 비율은 날씨가 추워지는 10월부터 겨울의 막바지인 3월까지 높게 나타납니다. 뇌는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어려운 기관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허성혁 교수는 ”뇌졸중 환자의 약 80%는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으로 혈관을 통한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후유증과 장애, 더 나아가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예방과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대부분 갑작스럽게 발생하기 때문에 사전징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FAST 법칙을 숙지하는 게 좋다“고 말했습니다.
발병 후 1시간 30분 이내에 혈전 용해제 투여 시 치료받지 않은 환자에 비해 장애가 남지 않을 가능성은 3배가량 높다. 3시간이 넘어가면 그 가능성은 절반 이하로 낮아집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잠시도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허성혁 교수는 ”뇌졸중은 높은 사망률과 함께 치명적인 후유증을 유발하는 머릿속 시한폭탄“이라며 ”분, 초를 앞 다투는 질환인 만큼, 전조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 말고, 반드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주빈, 징역 40년 선고에 누리꾼도 놀라.. 법조계 "중형에 해당" (0) | 2020.11.27 |
---|---|
추미애, 檢집단항명에 "충격 충분히 이해..尹징계절차 법대로 진행" (0) | 2020.11.27 |
코로나의 가장 흔한 증상은 마른 기침도 고열도 아니었다..그럼 무엇? (0) | 2020.11.25 |
3차 재난지원금, 언제 얼마나 받게 될까? (0) | 2020.11.25 |
빨라지는 뇌의 노화, '젊은 뇌' 유지하는 습관 7가지 (4)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