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여가 풍경, 어떻게 달라졌나? 'S.U.P.E.R'

2020. 6. 10. 10:14일상다반사

728x90
반응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개인화된 여가가 각광받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6월 10일 여가 플랫폼 야놀자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최근 3개월(2020년 3~5월) 간 고객들의 이용 데이터를 분석해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여가 트렌드를 이끌 5가지 키워드를 발표했습니다.

5가지 키워드는 특급 호텔 인기(Supreme), 언택트 트렌드 부상(Untact), 개인화된 여가 선호(Private), 체험형 레저 증가(Experience), 여행심리 반등(Rebound) 등입니다. 이에 야놀자는 해당 키워드의 앞글자를 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여가 트렌드를 'S.U.P.E.R'(슈퍼)라고 명칭했습니다.

먼저, 특급(Supreme) 호텔의 인기가 눈에 뜁니다. 야놀자에 따르면 국내 4∙5성급 호텔 예약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2% 증가했습니다. 해외여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선택의 폭이 좁아진 소비자들이 비용 대비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숙소에서의 호캉스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개인 간의 접촉 최소화로 언택트(Untact) 서비스에 대한 수요 역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야놀자가 개발한 호텔 셀프 체크인 키오스크 설치 제휴점의 언택트 체크인 비율은 5월 기준 전체 예약의 절반 이상으로, 20% 수준이었던 1월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개인화(Private)된 여가를 선호하는 추세도 두드러졌습니다. 상대적으로 타인과의 접촉 가능성이 낮은 펜션의 이용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5%, 독채형 펜션은 93% 증가했습니다. 인기 검색어에서도 글램핑, 풀빌라처럼 독립된 공간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의 실천이 가능한 숙소들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습니다.

의미 있는 경험(Experience)을 중시하는 트렌드도 돋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공간과 활동의 제약이 커지면서 단순 관람보다는 소규모 체험형 레저 활동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지난 3개월간 취미∙여가 활동, 원데이 클래스 등 직접 체험 가능한 레저 상품의 이용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353% 늘어나 동기간 전체 레저∙액티비티 상품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코로나 이후 여행심리는 빠르게 반등(Rebound)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코로나19가 안정세를 보였던 올해 황금연휴 기간(4월30일~5월5일) 중 국내 숙소 이용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습니다.

여행에 대한 보상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며, 향후 코로나19 사태가 안정화되면 여행수요가 급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야놀자 관계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여행의 선택폭이 좁아지면서 안전하면서도 특별한 경험을 추구하는 여행객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사태가 조속히 안정돼 침체기를 겪고 있는 국내 여행업계가 다시 한번 슈퍼(Super) 산업으로 도약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