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22. 11:30ㆍ일상다반사
경기불황과 취업난, 만혼 증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늘어난 캥거루족은 시간이 지날수록 사회적 존재감과 나이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2049세대 성인 남녀 절반이상이 스스로를 성인이 되었음에 불구하고 부모에게 의존하는 ‘캥거루족’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2일 생활밀착 일자리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이 20~40대 성인 남녀 1599명을 대상으로 ‘캥거루족’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1.3%가 본인을 ‘캥거루족’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러한 답변은 여성(56.4%)이 남성(43.4%)에 비해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20대 59%, 30대 51.2%로 20, 30대 절반 이상이 스스로를 캥거루족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40대 또한 42.7%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이들이 자신을 캥거루족이라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부분 의존’ 때문이라는 답변이 42.5%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경제적, 정신적으로 모두 의존’하고 있다는 응답자도 36.9%에 달했으며 ‘정신적 부분 의존’ 때문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0.6%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부모에게서 지원받고 있는 부분으로 ‘주거비’(40.8%)를 1위로 꼽았습니다. 높은 집값은 자립을 방해하는 요소로 2049 성인에게도 큰 부담감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으로 ‘식비, 용돈 등 생활비’(21.3%), ‘요리, 청소 등 가사’(18.9%), ‘정신적 위로와 안정감’(11.9%), ‘육아’(7.1%)의 순이었습니다.
특히 40대의 경우 ‘육아(14.4%)’에 대한 지원을 받는다는 응답이 다른 연령대(20대 2.2%, 30대 7.4%)에 비해 월등히 높아 결혼 후 독립을 했다가 육아의 문제로 다시 캥거루족으로 돌아오는 ‘리터루족(리턴과 캥거루족의 합성어)’이 늘고 있는 것으로도 해석되고 있습니다.
부모에게 지원 받고 있는 금액은 월 평균 43만 6천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세부적으로는 ‘30만원~50만원 미만’을 지원 받는 다는 이들이 28.1%로 가장 많았으며 ‘10만원~30만원 미만’(22%), ‘10만원 미만’(18.3%), ‘50만원~70만원 미만’(17.6%), ‘70만원~100만원 미만’(7.1%) 순이었으며 ‘100만원 이상’ 지원 받는다는 답변도 6.9%나 됐습니다.
부모의 지원을 언제까지 받을 예정인지에 대해 묻자 ‘분가 등 주거지를 독립할 때까지’라는 의견이 26.4%로 가장 많았으며 ‘수입이 넉넉해질 때까지’(21.7%), ‘결혼할 때까지’(20.8%), ‘육아가 해결될 때까지’(12.6%), ‘취업할 때까지’(10.4%)라는 의견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 외 응답자의 8%는 ‘독립할 생각이 없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한편 스스로를 캥거루족이라 생각하는 이들의 캥거루족에 대한 인식은 어떨까?
‘요즘 같은 불경기에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는 답변이 35%로 가장 높았다. 이 밖에 ‘부모님과 함께 하는 것이 현명해 보인다’(20.3%), ‘가족이랑 함께 지내는 것이 화목해 보인다’(11.1%)는 긍정적인 답변을 선택했습니다.
반면 ‘자기 삶에 대한 의지나 책임감이 없어 보인다’(17.5%), ‘무능력해 보인다’(16.1%)는 부정적인 답변은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도 모르는 박원순 아이폰XS 비밀번호, 피해자는 어떻게 알았나 (0) | 2020.07.23 |
---|---|
장마 끝나면 펄펄..'8월 폭염' 작년보다 더 덥고 길다 (0) | 2020.07.23 |
"나라가 불렀잖아" 등떠민 아내..인천공항서 100일 잔 군의관 (0) | 2020.07.21 |
7차 감염 부른 인천 학원강사 구속.."충격받아 거짓말" (2) | 2020.07.20 |
이재명 지사 '기사회생'..대법, 선거법위반 사건 파기환송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