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23. 11:33ㆍ일상다반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3일 삼계탕 등 닭요리 섭취가 늘어나는 여름철에는 캄필로박터 제주니(이하 캄필로박터) 균으로 인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며 생닭 취급과 조리 과정에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캄필로박터균은 닭, 칠면조, 돼지, 소, 고양이 등 동물의 장관에서 흔히 발견되는 균으로 사람에게도 전염됩니다.
여름철 캄필로박터균 감염은 생닭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많이 일어나게 됩니다. 생닭을 씻는 물이 옆으로 튀어 다른 식재료를 오염시키거나 생닭을 담았던 조리기구에 날것으로 섭취하는 과일과 채소를 담아놓을 때 교차오염이 일어납니다.
캄필로박터균 식중독 환자는 최근 5년(2015∼2019년) 동안 2천384명이 발생했고, 이 중 이 중 880명(37%)이 7월에 나왔습니다. 또 환자 중 1천33명(43%)의 캄필로박터 식중독 원인은 육류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식중독이 발생한 장소로는 학교급식소(1천124명·47%), 학교 외 집단급식소(538명·23%) 순이었습니다.
식약처는 "캄필로박터균은 42도에서 잘 증식하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에 쉽게 증식하는 데다 이 계절에 삼계탕 등 보신용 닭요리 섭취가 증가하기 때문에 환자 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습니다.
캄필로박터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생닭을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맨 아래 칸에 보관해야 합니다. 밀폐하지 않은 채 냉장 보관하면 생닭에서 나온 핏물 등에 의해 다른 식품이 오염될 수 있습니다.
생닭을 씻을 때는 물이 튀지 않도록 조심하고 식재료는 채소류와 육류, 어류, 생닭 순으로 씻어야 합니다.
생닭을 만진 후에는 손과 조리기구를 세정제로 씻고, 다른 식재료를 다뤄야 합니다. 생닭을 조리할 때에는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중심온도 75도·1분 이상)해야 합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민경이 외쳤다.."맛난 거 먹으려 살 뺀다!" (0) | 2020.07.24 |
---|---|
'주체사상'에 '이승만 괴뢰정권'까지..시대착오적 청문회 (2) | 2020.07.24 |
가족도 모르는 박원순 아이폰XS 비밀번호, 피해자는 어떻게 알았나 (0) | 2020.07.23 |
장마 끝나면 펄펄..'8월 폭염' 작년보다 더 덥고 길다 (0) | 2020.07.23 |
캥거루족도 고령화.. 40대 42.7% "캥거루족" (0) | 2020.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