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2. 12:37ㆍ일상다반사
새해 4인 가족의 주택용 전기요금(350kWh 사용기준) 고지서에는 1850원의 기후환경 요금이 별도로 표기됩니다. 새롭게 부과되는 요금이 아니라 기존 전력량 기준 전기요금에서 기후환경 비용만 따로 떼어 별도 고지하는 것입니다. 다만 정부의 2050탄소중립 목표 선언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권 비용 등이 증가할 경우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새해 1월 전기요금 고지서부터 '기후·환경 요금'이 별도로 고지됩니다. 현재 전력량 요금에 포함돼 있는 기후·환경관련 비용을 별도로 분리한 것으로, 새롭게 부과하는 요금은 아닙니다.
정부는 나날이 증가하는 기후·환경비용을 소비자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등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관련비용을 분리 고지함으로써 소비자 인식을 제고하고, 친환경에너지 확대에 대한 자발적 동참 여건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기후·환경 요금에는 △신재생에너지 의무이행 비용(RPS)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비용(ETS)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등에 따른 석탄발전 감축 비용 등을 포함합니다. 이중 석탄발전 감축 비용은 지난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이후 반영되기 시작한 비용입니다.
내년 1월 반영하는 기후환경요금은 1kWh 당 총 5.3원입니다. 전체 전기요금의 약 4.9% 수준이다. 항목별로는 RPS 4.5원/kWh, ETS 0.5원/kWh, 석탄발전 감축비용 0.3원/kWh 등입니다. 이를 4인가족 기준(주택용 350kWh)으로 환산하면 월 1850원이다. 산업·일반용(9.2MWh) 기준으로는 월 4만8000원입니다.
기후환경비용을 추가적으로 추후에 조정하지 않는 한 계속 그대로 유지됩니다. 다만 기후환경비용은 추후에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배출권 비용 증가 추세에 따라서 어느 정도 올라갈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만큼 기후·환경비용의 증가는 향후 전기요금 인상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산업부와 한전은 향후 전기요금 총괄원가에 따른 요금 조정요인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기후·환경비용 변동분도 포함해 조정 필요성·수준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기술의 발전, 에너지 효율 향상 등에 따라 전기요금 인상 압력이 낮아질 수도 있기에 현 시점에서 요금 인상을 예단하긴 어렵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입니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인이 양부모 엄벌해달라" 진정서 폭주..경찰도 집중 포화 (0) | 2021.01.04 |
---|---|
수도권 2.5단계 17일까지 2주 연장..5인이상 모임금지 전국 확대 (0) | 2021.01.02 |
유승준, 김형석 저격 “친하지도 않은… 어디서 튀어나와” (0) | 2021.01.02 |
화면 보고 '짠∼'…언택트 시대 송년회 대신 '줌년회' (0) | 2021.01.02 |
文 정권 내 김앤장 파워, 신임 민정수석·초대 공수처장 모두 김앤장 출신 (0) | 2021.01.02 |